잠시만 기다려 주세요. 로딩중입니다.
iggy_one 이기원이 보고, 쓴 것들을 분류해 둡니다.

<변두리 사진 보고서> 제14호

*변두리 사진 보고서는 우리의 일상에서 마주하는 사진들이 어떻게 소비되고 작동하는지에 대해 다루는 연재물입니다.

의도치 않은 의미로 재탄생하는 이미지

부유하는 이미지짤방에 관하여 (2)

포토닷 2016년 6월호

글 이기원


어떤 이미지가 짤방이 되는가

 

앞선 글에서는 편의상 짤방을 두 가지 기능, ‘웃긴 이미지로서의 짤방’과 ‘감정을 표현하는 짤방’으로 나누어 서술했다. 하지만 ‘감정을 표현하는 짤방’ 역시 기본적으로 유머러스한 감정표현의 도구로 사용된다는 점(누구도 예의를 갖춰야 할 상대에게 쉽게 짤방을 보내진 않을 것이다)을 감안하면, 짤방의 가장 주요한 기능을 ‘웃긴 이미지’로 규정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웃긴 이미지’는 비단 코믹한 이미지만을 뜻하지 않는다. 정확하게는 ‘누구나 쉽게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이미지’다. ‘위꼴사(위가 꼴리는 사진)’, ‘위장테러’로 대표되는 먹음직스런 음식 사진(푸드 포르노)이나 귀여운 동물, 아기의 사진들 역시 짤방의 소재가 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독자에게 즉각적인 반응을 끌어내는 사진들이 짤방의 주요한 소재가 된 것은 그 탄생과정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앞선 글에서 다뤘듯, 최초의 짤방은 게시물을 부연하거나 이와 연관된 적절한 이미지가 없는 경우 게시물이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업로드된 이미지였다. 어떤 짤방이 되도록 널리 쓰려면 어떤 내용의 글에 따라붙더라도 글에 개입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이미지 즉, 부연설명이 필요 없는 사진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웃긴 이미지나 음식, 동물 사진처럼 특정 분야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쉽게 반응할 수 있는 이미지는 어떤 상황에서도 일관된 반응을 담보하는 ‘만능열쇠’처럼 작동한다. 하지만 ‘만능열쇠’ 이미지 역시 명확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들은 TV 프로그램의 유행어와 같아서 유효기간이 그리 길지 않다. 쉽게 관심을 받고 퍼질 수 있지만 그만큼 쉽게 질리고 잊혀진다.

 

텍스트와 결합한 짤방

 

짤방이 유통되는 플랫폼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SNS나 메신저 등의 모바일 영역으로 변화하면서 그 문법 역시 변화했다. 기존 짤방이 그 자체로 웃기는(흥미를 끄는) 역할에 치중한 것과 달리, 최근의 짤방은 텍스트와 밀접하게 결합한다. 그 차이는 후자를 ‘2세대 짤방’이라 부를 수 있을 정도다. 이미지 자체로 작동한 1세대 짤방은 텍스트가 필요 없거나, 그 존재감이 크지 않았다. 하지만 2세대 짤방은 텍스트(자막)와 결합해 이미지의 맥락을 뒤틀거나 재해석하는 방식으로 흥미를 유발한다. 이들은 이미지와 텍스트가 함께 놓여 있을 때만 생산자가 의도한 맥락을 발휘한다. 이는 앞선 글에서 다룬 ‘감정을 표현하는 짤방’ 과 유사해 보일 수 있지만 여기서의 텍스트는 감정이나 의견을 좀 더 명확하게 표현하는 역할에 한정돼 표면에 드러난 의미를 뒤틀거나 재해석하진 못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2세대 짤방에 활용되는 이미지들은 그 자체로는 별다른 흥미를 유발하지 못한다. 이는 주로 영화나 애니메이션에서 캡처한 장면이나 일상적인 스냅사진, 보도사진인 경우가 많고, 이미지에 따라붙는 텍스트를 통해 흥미를 유발한다. 덕분에 2세대 짤방은 이미지와 텍스트가 결합한 상태에서만 작동한다. 이미지와 텍스트 어느 한쪽이라도 없다면 제 역할을 해내지 못한다. 텍스트가 먼저 나타나고, 스크롤을 내리면 이미지가 등장하거나 혹은 반대로, 이미지와 텍스트를 인식하는 미묘한 시간차를 통해 맥락을 뒤바꾼다.

이러한 2세대 짤방의 사례로는 ‘제목학원’ 시리즈, ‘정치짤방’, ‘허언증 갤러리’에서부터 인터넷 뉴스나 커뮤니티 게시글에 달린 ‘베스트 댓글’이 짤방화된 경우까지 꼽을 수 있다. 가령 ‘정치짤방’의 경우,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사진이라 여기는 보도사진의 맥락을 뒤튼다. ‘정치짤방’의 캡션은 실제 사실과는 동떨어져 보이지만, 이것을 완전한 거짓이라 확신하긴 어렵다. 이 역시 언론사에서 붙인 캡션과 동일하게 이미지 자체에 기반해 어떤 맥락을 덧붙이는 것이기 때문이다. 가령 아래 ‘정치짤방 도판1’의 언론사 캡션은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대위 대표가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제3어린이집을 찾아 어린이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지만, ‘정치짤방’의 캡션 “선생님! 이 할아버지는 누구에요?! 오늘 엑소 온다고 했잖아요!”(엑소 멤버 카이의 본명이 김종인 –편집자 주) 역시 사진만 놓고 봤을 때, 가능할 법한 상황이라는 점에서 이를 참/거짓으로 규정하기 어렵다. 우리가 사진을 통해 진실이라고 믿는 정보들의 상당수는 사진 자체가 아니라 그 바깥의 해석(캡션)을 통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텍스트와 결합한 2세대 짤방이 ‘선택과 해석’만으로 사진의 맥락을 바꾸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것은 근본적으로 시각 이미지가 특정한 의미로 묶일 수 없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생산과 소비 사이의 ‘선택과 해석’

짤방이 유행하게 된 배경에는 짤방을 생산, 소비하는 이들이 문자보다는 이미지에 친숙한 세대라는 점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상대적으로 이미지보다는 문자에 친숙한 구세대들의 유머가 텍스트 형식-‘아재 개그’가 말장난 일색인 것처럼-을 띠는 것과 달리, 성장과정에서 TV, 만화, 영화, 게임, 웹툰 등 이미지 매체에 주로 노출된 젊은 세대는 이미지를 유머와 소통의 방식으로 활용한다. 이처럼 짤방은 특정 세대에 국한되는 하위문화의 성격이 강하지만, 그렇다고 이를 젊은이들의 유희활동으로만 치부해서도 안 된다. 텍스트와 결합한 짤방에서 두드러지는 ‘선택과 해석’의 과정은 이미지를 활용하는 다른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선택과 해석’의 과정은 이미지의 탄생 이후로 늘 존재했지만, 기존의 이미지 문법은 독자나 제3자의 해석보다 생산자의 의도를 우선시해 일방적인 소통만을 유도한 측면이 크다. 덕분에 생산자의 의도가 무의미한 SNS 사진이나 스트리트 뷰, 위성사진, CCTV, 블랙박스와 같이 기계에 의해 자동생성된 방대한 이미지들은 그저 ‘잉여 이미지’로만 분류됐다. 하지만 이 역시 효과적인 분류와 해석 등의 과정을 거친다면, 동시대 사회상을 보여주는 하나의 지표로 기능할 수 있지 않을까? 이런 지점에서 어쩌면 짤방은 이미지 세계의 가장 변두리에서 텍스트와 이미지의 관계를 실험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정치짤방
트위터(@politician_jjal)를 통해 정치 관련 보도사진에 재치있는 글을 덧붙이거나 이와 비슷한 게시물을 리트윗한다. 때로 두 장의 전혀 관계없는 사진을 이어붙여 맥락을 만들기도 한다. 특히 캡션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보도사진에서 그 맥락을 뒤틀며 웃음을 유발하는데, 이는 사회/정치적 이슈를 풍자하는 역할로도 쓰인다.

 



제목학원
짤방을 놓고 재치있는 제목(이른바 드립)을 다는 놀이를 뜻한다. 가장 적절한 제목을 단 이용자에게는 “제목학원 우등생이시네요”라는 식의 리플이 달린다. 이는 본디 일본의 보테케(bokete.jp)라는 사이트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내 커뮤니티로 유통되는 과정에서 ‘열도의 제목학원’으로 번역됐다.




허언증 갤러리
‘허언증(자신이 거짓말을 하고 나서, 그걸 그대로 믿어버리는 병)’을 주제로 삼은 디시인사이드의 갤러리. 짤방을 다루는 방식은 제목학원과 비슷하나 허무맹랑한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열림교회 닫힘
한 트위터 이용자(@munbaOBOK)가 올린 서울 마포구 소재 열림교회 사진이다. 사진만 놓고 보면 큰 흥미거리가 되지 않지만, 따라붙은 텍스트는 웃음을 유발한다. 해당 트윗은 3년 전에 올렸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7만3천여 건에 달하는 리트윗 수를 기록하며 꾸준히 공유되고 있다. 최근 ‘스브스 뉴스’에서 이를 소개하며 해당 교수를 인터뷰하기도 했다. (blog.naver.com/subusunews/220701338829)


2016. 9. 26. 16:44  ·  critiqu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