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시만 기다려 주세요. 로딩중입니다.
iggy_one 이기원이 보고, 쓴 것들을 분류해 둡니다.



확장자가 PSD인 회화

-김효재 <수직동기화>(기고자, 2017) 서문

글 이기원


우리는 액정화면을 통해 어떤 이미지를 마주할 때 그것이 27인치 모니터에 띄워져 있건, 레티나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4.7인치 스마트폰으로 보건, 혹은 오래된 구형 폴더형 휴대폰 컬러액정으로 보던 동일한 이미지라고 생각한다. 예컨대 꽃 사진을 액정화면에 띄워 바라볼 때, 우리가 이를 보고 가장 먼저 인식하는 것은 ‘꽃’이지 ‘반짝이는 수백만 개의 픽셀 다발’은 아닌 것처럼 말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우리가 어떤 이미지를 현실 속 장면 혹은 대상에 대한 재현물로 인식해왔기 때문에, 이것이 구현된 액정화면을 보면서도 이미지 데이터 자체가 아닌 그 이미지가 지칭하는 ‘원본’을 본다고 인식하는 오랜 관습에서 비롯된다. 하지만 그렇다고 꽃 사진을 보고 ‘이것은 전자신호인 픽셀일 뿐이야’라고 말하는 것 역시 무의미하다. 다만 꽃 사진을 보고 이를 ‘꽃’으로만 인식하지 않는 감각은 필요하다. 분명 어떤 지지체 위에서 이미지 데이터가 불러오기(Ctrl+O) 되는지에 따라 우리 눈앞에 놓이는 이미지는 달라지기 때문이다. 화면의 크기와 해상도, 디스플레이 구동 방식에 따라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는 각기 다른 크기와 화질, 색감을 보여준다. 


스마트폰 사진첩이나 인스타그램 계정을 열어보면, 우리는 각기 한 장씩의 사진을 찍거나 올렸을 뿐이지만 그것이 누적된 썸네일 그리드는 사용자 본인도 예상치 못한 이미지를 보여준다. 그리고 이는 단지 ‘정렬된 이미지 묶음’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사용자의 취향이나 관심사, 습관을 읽어낼 수 있는 데이터가 될 수 있다. 


김효재의 회화는 우리가 액정화면을 거쳐 이미지를 바라볼 때 발생하는 틈을 감지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작가는 작품의 소스가 되는 자료를 파일 형태로 저장하기보다는, 터치스크린의 핀치-투-줌을 통해 만들어진 확대된(깨진) 이미지를 그대로 캡처하거나 혹은 액정화면 안에서 확대/축소, 변형될 수 있는 가변의 상태 자체를 작업의 소스로 삼는다. 그리고 이러한 소스가 각각의 레이어가 되어 만들어진 작품은 자신의 소스와 유사한 형태를 띠는 가변적 상태로 남는다. 이어서 그녀의 작품은 여러 이미지가 한 프레임 안에 중첩돼 있거나 각각의 프레임이 서로에게 간섭하기도 하고, 때로는 프레임 밖으로 이미지가 흘러나가기도 한다. 덕분에 이들 작품은 각각의 프레임 또는 지지체 단위로 분리되지 않고, 마치 썸네일 그리드처럼 서로 달라붙거나 연결되고 또 분리되면서 하나의 그룹인 동시에 개별적 유닛의 역할도 수행하며 다층적인 이미지를 보여준다.


작품의 토대가 되는 이미지들은 대부분 픽셀로 구성돼 있다. 하지만 이는 비단 유튜브 영상의 스크린샷이나 짤방 같은 데이터로서의 이미지만을 지칭하지 않는다. 작가가 관심갖는 것은 데이터로서의 픽셀이 아니라 그것이 액정화면이나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지지체 위에 투사되며 만들어지는, 단단하진 않지만 물렁한 것도 아닌, 액정화면의 질감만큼 ‘무른 이미지’이다. 이같은 무른 지지체를 거쳐 드러나는 이미지들은 전송과정에서 열화돼 있거나, 스크린 캡처를 통해 잘려나가고, 웹사이트의 알고리즘이나 액정화면과 연결된 프로그램을 통해 변형되고 뒤틀린 (우리의 관념상에서는) 온전치 않은 이미지이다. 다시 말해 데이터로서의 이미지가 프로그래밍 코드의 명령을 받아 일시적으로 확대되거나 축소되는 등의 방식으로 변형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지점에서 작가는 같은 데이터의 이미지라 할지라도, 그것이 어떤 액정화면(기기)를 거쳐 구현되는지에 따라 이를 다른 이미지로 감각한다. 여기서 액정화면 디스플레이의 구동 방식(LCD, LED 등)이나 화소 수, 해상도와 같은 요소들은 데이터로서의 이미지에 개입하여 이를 왜곡, 변형하고 작가는 이런 과정을 거쳐 눈 앞에 드러난 이미지의 표면을 그대로 인식한다. 그리고 이를 감각하는 자신의 뇌를 필터 삼아 작품으로 옮겨온다. 이처럼 김효재가 자신이 감각한 이미지를 다시 시각화한 작품들은 온전히 눈으로 본 풍경이나 정물도 아니지만, 그렇다고 자신의 머릿속에서 만들어진 추상 이미지를 보여주는 것도 아니다. 구상도 추상도 아니지만 명백한 소스 이미지가 존재하고, 작가는 이를 자신의 방식과 시점으로 재현한다. 


작가가 선보이는 ‘무른 이미지’, 즉 액정화면에 기반해 파편적으로 그것의 속성과 연결되는 작품들- 캔버스에서 크롭/잘라내기(Ctrl+X)된 회화 조각들, 어떤 이미지를 출력한  인화지에 물감/스프레이를 레이어 삼아 쌓아 올린 회화, 지지체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구부려진 형태로 설치된 이미지-은 동시대 이미지가 작동하는 방식을 은유하는 동시에 작가 자신이 인식하는 다양한 액정화면 위 이미지 사이의 격차를 드러낸다. 매끈한 광택지를 비롯 여러 질감의 지지체 위에 달라붙거나 지지체를 삐져나와 흘러내린 물감과 스프레이로 구성된 작품들은 전통적인 캔버스 회화의 문법으로 해석되기보다는 포토샵으로 구현되는 PSD 형식과 유사하다. 이는 레이어 병합(Ctrl+E)된 단일한 데이터로 남지 않고, 백그라운드 레이어에 인쇄된 이미지/자막들과 그 위로 쌓인 형상들이 개별적인 레이어로 구성된 다층적인 이미지로 존재한다. 감상자는 자신의 머리 속에서 각각의 레이어들을 드래그하고 순서를 바꿔보며 작품을 살펴볼 수 있는 동시에 각각의 지지체가 만들어내는 차이를 감지해낼 수 있다.  




Paintings in File Name Extension of PSD


When we are facing an image through Liquid Crystal Display, we consider it as the equivalent image whether it is appearing on 27inch PC monitor, on 4.7inch smartphone’s screen with Retina Display, or on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in old-typed clamshell phone. In other words, what we aware of is a “flower,” but not a “bunch of flashing millions of pixels,” when we see an image of flower on the screen. This derived from the old custom of seeing that makes us believing that we are seeing the ‘original’ that the image refers to rather than the image data itself when we are looking at the LCD screen where it is representing, because basically we have recognized an image as a representation of scene or object in reality. It is meaningless to say “this only is a pixel, which is an electronic signal,” when looking at a flower image.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o have a sense to not recognize it as ‘flower,’ because the image placed before our eyes changes depend on which carrier is loading (Ctrl + O) image data. One image data shows variable size, image quality, and color depending on the screen size, resolution, and display drive method. 


When we open our smartphone photo album or Instagram account, thumbnail grid is showing unexpected image which originally is only an accumulation of images uploaded by users one by one. And this not only exists as “an organized set of images” but also is data itself that the user’s taste, concern, or habit could be read. 


The paintings of Hyojae Kim start from perception of gap occurred when we looking at images through LCD screens. The artist’s sources of works are captured images from enlarged (or fragmented) image by pinch-to-zoom function on touch screen or images in variable status including matter of size or resolution in LCD screen, rather than using images saved as files. And the works made of layers of these sources are left as variable status in similar forms of its own sources. Furthermore, various images are overlapped within single frame or multiple frames are jamming each other, and sometimes they are slipping out of the frames in her works. According to that, these works are not separated into the unit of frames or carriers, but showing multi-layered images to working as a group together and as an individual unit independently at the same time by sticking together, connecting and separating just like a thumbnail grid. In this way, the works visualized from the images that sensed by the artist show neither scenery/still-life nor abstract images made in her own mind. It is neither figurative nor abstract, but there is an obvious source image that the artist represents in her own methods and viewpoint. 


Images where the artist’s work based in are mostly composed of pixels. But it doesn’t refer to the images only as data like screenshots from Youtube videos or memes. What the artist concern is not pixel as data, but “Floppy Image,” which is made by projecting on physical carrier like screens so that is neither hard nor soft just as much as the texture of LCD screen. Those appearing through floppy carriers are poor images (according to our sense), which are being degraded during transmission process, being cropped by screenshots, or being transformed or distorting by algorithm of websites and programs connected to the hardware. In other words, it is result that the image as data is transformed in such ways like temporarily enlarged or reduced by receiving programming instruction codes. At this point, the artist senses images of the same data as different images depending on which liquid crystal screen (device) gives body to them. Image as data is distorted or transformed by intervention of factors including display drive system (LCD, LED, etc.), number of pixels, resolution. What the artist sense intactly is the skin-depth surface of image that she’s facing after this procedure. And it is transferred into her work through a filter of her sensory brain. 


The “floppy images” by the artist, based on LCD screen and fragmentarily connected to its attributes, — the scraps of paintings cropped (Ctrl + X) from canvas, paintings of layered pigments/sprays on the printing-out paper, and images installed in bending forms losing its function as carrier — shows the mechanism of contemporary image metaphorically and the gap between images on various screens that she aware of. The works sticking out on the carrier of various textures like smooth glossy paper, and composed of paints and sprays running out of its frame are similar to the PSD format implemented in Photoshop, rather than being interpreted as the grammar of traditional canvas painting. They exists as multi-layered image(s) consisting of individual layers of image/subtitles printed on the background layer and the shapes stacked on top of it, not as a single piece of data merged on one layer (Ctrl + E). By so, the viewer can appreciate these works with dragging and changing the order of the layers in one’s head, and at the same time, perceiving the differences produced by each carrier. 


Text by Kiwon Lee

Translated by Alba Dawoon Lim


2017. 7. 23. 15:10  ·  critiqu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