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시만 기다려 주세요. 로딩중입니다.
iggy_one 이기원이 보고, 쓴 것들을 분류해 둡니다.




영화와 비디오 아트, 경계에 대해 묻다 

<Cinema Killed The Video Star> 

175 갤러리 / 2014. 2. 18 - 2. 28 

경향 아티클 2014년 3월호

글 이기원 


 지난해 개봉한 영화, <셜리에 관한 모든 > 예술가와 작품을 소재로 영화이지만, 어떤 측면에서는 에드워드 호퍼(Edward Hopper) 회화을 기반으로 비디오 아트로 있는 요소도 갖추고 있다. 이는 외적인 조건이나 형식뿐만 아니라 영화 자체적으로도 비디오 아트적인 속성이 드러나기 때문인데, 과연 우리는 영화와 비디오 아트가 구분되는 지점을 명확하게 정의할 있을까?


   175 갤러리에서 열린 <Cinema Killed The Video Star>전의 작가(강수연, 김영남, 홍승범) 비디오 아트와 영화의 모호한 경계에 대한 궁금증으로부터 전시가 시작되었다고 전한다강수연 작가의 <외계인과 소녀> 작품이 상영되는 공간이 관객이 작품을 수용하는 태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물음을 던지며, 김영남 작가는 60년대 이후의 우리나라 영화, 소설의 부분들과 자신이 채집하고 연출한 이미지를 결합한 <영자경아명희명숙영희> 통해 영상 시간과 현실의 시간이 갖는 괴리를 드러낸다. 작가 어머니의 스마트폰에 기록된 영상을 바탕으로 제작된 홍승범 작가의 <같이 살아간다> 어떤 단체관광객의 풍경으로부터 철거민 대책 사무실과 재건축지구 철거현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이질적인 사건들을 병치시키면서 카메라의 시선과 관객의 시선이 엇나가는 지점을 이야기한다.


 이들 작품은 그들 각자의 형식과 구성을 통해 각기 다른 지점에서 영화와 비디오 아트의 경계를 넘나든다. 관객은 장르가 교차하고 구별되는 지점에 대해 스스로 고민하고 이에 대한 자신만의 답을 찾아가게 된다.    



+ 그리고 다한 이야기


  전시 서문을 보았을 , 나는 문득 어렸을 쓸데없이 궁금해했던 것들 하나였던밀크커피 ‘커피우유 어휘적 차이점에 대한 고민이 떠올랐다. 밀크커피와 커피우유는 단어 자체는 순서만 바꿨지만 실체는 확연히 다른 경우이지만, 비디오 아트와 영화의 차이점은 실체가 전혀 구별되지 않는 지점이 분명 존재한다. 또한 어떤 방향에서 작품을 보느냐에 따라 평가도 달라진다.


 기사에서도 예를 들었지만 영화 <셜리에 대한 모든 > 내게 영화로서는 무척이나 재미없었지만, 이를 비디오 아트라는 측면에서 생각했을땐 흥미로운 작업이였기 때문이다. 같은 영상을 두고 이런 평가가 가능한 것은 전제를 어디에 두느냐에 있는데, 아무래도 영화에 대해서는 ‘재미 몰입을 기대하는 측면이 강하고, 영상 작품에 대해서는 몰입도 보다는 아이디어나 표현력에 초점을 맞춰 보게 되는 것이 원인이다. 그렇기에 이번 <Cinema Killed The Video Star> 전의 작품은 오히려 화이트 큐브의 전시장에서 보았기 때문에 좀더 재미있게 느껴진 ‘단편영화였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밀크커피와 커피우유의 예에도 적용된다 두가지 음료의 맛을 디테일하게 비교하는 것은 별로 의미가 없다전제가 자판기 종이컵인지, 우유팩인지에 따라 그것이 '우유가 들어간 커피' 되거나 '커피맛이 나는 우유' 있는 뿐이다. 그래서 영화와 비디오 아트 역시 그것을 바라보는 전제는 구분지을 있지만, 영상 자체를 두고 구분하려는 것은 밀크커피에서 커피우유 맛이 난다거나, 커피우유에서 밀크커피맛이 난다고 불평하는 것만큼이나 의미 없는 짓이다

2016. 9. 26. 16:13  ·  review    · · ·